봄이면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나무 중 하나인 진달래꽃입니다. 일반적으로 연분홍색 또는 흰색 꽃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마치 벚꽃과도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가까이 가서 자세히 살펴보면 차이가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진달래와 철쭉의 차이점과 진달래 화전 요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진달래
진달래는 진달래 속에 속하는 꽃 피는 식물의 일종입니다. 진달래는 10,000종이 넘는 종류가 있으며 분홍색, 빨간색, 흰색, 주황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이 있습니다. 진달래는 꽃이 아름답고 화사하여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으며 조경이나 원예용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아시아, 유럽 및 북미를 포함한 세계 여러 지역에 서식하며 숲에서 산비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됩니다. 진달래는 철쭉과 비슷하게 생기고 둘 다 진달래과라서 구분하기 어렵지만 몇 가지 특징들을 알고 있으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선 진달래는 4월 초순경 잎보다 꽃이 먼저 피고, 철쭉은 5월 중순경 잎과 꽃이 동시에 핍니다. 그리고 진달래는 꽃잎 안쪽에 점이 없고, 철쭉은 중앙에 점이 있다는 차이점이 있으니 이 부분을 참고해서 구별하시면 더욱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진달래꽃말은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첫 번째는 이별 후 다시 만나는 기쁨이고, 두 번째는 임을 향한 애틋한 마음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다른 의견으로는 독성이 강한 철쭉과 구별하기 위해 '절제'라는 단어를 넣었다는 말도 있습니다. 진달래꽃말은 분홍색뿐만 아니라 흰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얀색 진달래꽃말은 청렴결백, 순진무구이며, 노란색 진달래꽃말은 우정과 영원한 사랑입니다. 또한 보라색 진달래꽃말은 첫사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빨간색 진달래꽃말은 사랑의 기쁨을 뜻합니다.
2. 철쭉
철쭉이란 이름은 ‘붉은색’을 뜻하는 ‘철’과 ‘꽃’을 뜻하는 ‘쭉’이 합쳐진 말로써 한자어로는 척촉(躑躅)이라고 부릅니다. 즉, 철쭉은 붉은색 꽃이 피는 나무라는 뜻입니다. 원래 철쭉은 낙엽관목이었는데 점차 상록성 관목으로 변화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진달래과에 속하는 철쭉은 4월 중순에서 5월 초순경에 개화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봄꽃입니다. 우리나라 산야에서는 5월 초쯤 만개하는데 특히 지리산 바래봉 일대 능선길엔 철쭉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어 매년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습니다. 철쭉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영산홍(Rhododendron indicum)입니다. 원산지는 일본이며 키가 작고 가지가 많아 땅바닥에 붙어서 자라는 특징이 있고 꽃잎 안쪽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나있는 모양입니다. 다음으로는 자산홍(Rhododendron yedoense var. koreanum)입니다. 역시 원산지는 일본이며 높이가 약 1m이고 가지는 적갈색 또는 암갈색입니다. 그리고 줄기 윗부분에만 작은 털이 빽빽하게 나고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나는 점이 영산홍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철쭉은 그라야노톡신이라는 독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식용으로 드시면 안 됩니다. 철쭉을 진달래로 오인하여 식용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그라야노톡신에 중독 시 마비, 구토, 호흡곤란 등의 심각한 중독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철쭉의 꽃말은 사랑의 기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철쭉은 다양한 색깔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마음을 사로잡기도 합니다. 또한 철쭉의 붉은빛은 양기를 상징하기 때문에 액운을 막아주는 의미로도 쓰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좋은 의미를 가진 철쭉이니 만큼 선물용으로도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3. 진달래 화전 요리
진달래는 비타민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로해소에 좋고 식욕부진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기침 가래 천식 등 기관지 질환 완화에도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 촉진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봄이면 항상 먹는 음식 중 하나인 진달래 화전은 찹쌀가루 반죽 위에 진달래 꽃을 올려 만드는 우리나라 전통음식입니다. 예쁜 모양과 맛 덕분에 아이들 간식으로도 좋고 어른들에게는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좋은 음식입니다. 밀가루나 부침가루로는 찰기가 없어서 떡처럼 쫀득한 식감을 낼 수 없습니다. 찹쌀가루를 이용해야 쫀득한 식감을 낼 수 있습니다. 반죽 농도는 물양을 조금씩 넣어가며 맞춰주는 게 좋습니다. 화전 만들기 위해 꽃잎은 식용꽃을 추천합니다.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식용꽃들을 판매하기 때문에 취향에 맞게 고를 수 있습니다. 진달래화전은 찹쌀가루 반죽 위에 진달래를 올려 지져먹는 음식입니다. 재료는 찹쌀가루 1컵, 소금 약간, 뜨거운 물 2/3컵, 식용유 적당량, 꿀 또는 설탕 시럽 등이 필요하답니다. 요리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찹쌀가루에 소금을 넣고 뜨거운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반죽한다. 2. 반죽을 지름 5cm 크기로 동글납작하게 빚는다. 3. 달군 팬에 기름을 두르고 반죽을 올린 뒤 앞뒤로 노릇하게 부친다. 4. 접시에 부친 떡을 담고 진달래를 얹어 장식한다. 5. 기호에 따라 꿀이나 설탕 시럽을 곁들인다. 한국 전통음식인 진달래화전 레시피를 알아보았습니다. 맛도 좋고 보기에도 좋은 진달래화전 만들어 드시면서 즐거운 시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